테니스 엘보(Tennis Elbow)는 팔꿈치 외측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의학적으로는 외측 상과염이라고 불립니다. 주로 팔꿈치 바깥쪽 힘줄에 반복적인 부하가 가해져 미세 손상이 누적되면서 발생하며, 테니스와 같은 운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반복적인 동작으로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특히 30~50대에서 흔히 나타나며, 테니스를 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테니스 엘보의 주요 원인
테니스 엘보의 주요 원인은 손목과 팔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키보드 타이핑이나 마우스 사용, 드라이버나 공구를 다루는 작업, 악기 연주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테니스나 골프와 같은 스포츠를 할 때 잘못된 자세나 과도한 훈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손목을 반복적으로 뒤로 젖히는 동작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테니스 엘보의 주요 증상
이 질환의 주요 증상은 팔꿈치 외측의 통증과 압통입니다. 통증은 손목이나 아래팔로 퍼질 수 있으며, 물건을 들거나 문을 열 때, 악수할 때와 같은 일상적인 동작에서도 느껴질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열쇠를 돌리거나 머리를 빗는 가벼운 활동에서도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한, 팔꿈치를 완전히 펴거나 손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테니스 엘보의 치료 방법
테니스 엘보는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초기에는 통증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팔꿈치와 손목 사용을 줄이고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냉찜질을 통해 염증과 부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비마약성 소염제를 복용하거나 국소 항염 연고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물리치료는 초음파나 전기자극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팔꿈치 보호대나 스트랩과 같은 보조기구를 착용하면 근육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통증이 완화된 이후에는 재발 방지와 재활에 초점을 맞춥니다. 손목과 전완근의 근력을 강화하는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이 권장되며, 체외충격파 치료 등을 통해 병변 부위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반복적인 동작이나 무리한 활동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주사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프롤로 주사(증식 주사)나 스테로이드 주사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 힘줄 파열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만약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6~12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염증 부위를 제거하고 복원하는 힘줄 수술이 있으며, 성공률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테니스 엘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팔 사용 시 적절한 휴식을 취하고, 운동 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과도한 훈련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근력 강화 운동으로 팔꿈치 주변 근육과 힘줄을 단련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자세를 조정하는 등의 생활 습관 개선도 필요합니다.
테니스 엘보는 초기 관리가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증상을 방치하면 만성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통증이 느껴질 경우 조기에 진단받고 적절히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팔꿈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건강 챙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중이염!! (0) | 2025.03.08 |
---|---|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질환, 이석증! (0) | 2025.03.07 |
청력 손실을 야기하는 돌발성 난청!! (0) | 2025.03.06 |
의사추천! 아침 공복에 먹으면 좋은 음식들 (0) | 2025.03.05 |
귀에서 발견되는 증상은 무엇이 있을까요? (0) | 2025.03.05 |
구토와 설사를 동반하는 노로 바이러스! (0) | 2025.03.04 |
몸의 뿌리인 발과 건강의 상관성?! (0) | 2025.03.04 |
손톱으로 알아보는 손톱 건강!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