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챙김

비슷하지만 다른, 방광염과 신우신염 비교!!

by 띠뜨마미 2025. 2. 26.

 

신우신염과 방광염은 모두 요로감염의 일종이지만, 감염 부위와 증상의 심각도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1. 방광염

 

방관염은 방관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보통 하부 요로감염에 해당합니다. 여성에게 더 흔하며,세균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들어가면서 발생합니다.

방광염의 증상으로는 소변을 볼 때 통증이나 작열감을 느끼게됩니다. 잦은 배뇨 욕구(소변이 자주 마려움)를 느끼지만 소량의 소변만 나옵니다. 하복부의 불편감이나 압박감도 느껴지며, 발열은 드물지만 발열이 있어도 신우신염 만큼 심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방광염은 신우신염보다는 보다 흔하게 발생합니다

방광염은 대부분 외래에서 진단 및 치료 가능하며, 3-7일간의 경구 항생제 치료로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2.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콩팥)과 신우(신장의 집뇨부)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주로 세균이 요관을 통해 신장까지 올라가면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더 심각한 감염으로 여겨집니다.

신우신염의 증상으로는 높은 열(발열)과 오한이 나타나고, 옆구리나 허리(신장부위)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메스꺼움 또는 구토증상도 동반하고 소변이 혼탁해지거나 혈뇨(소변에 피가 섞임)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신우신염은 방광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흔합니다.

신우신염에 걸렸을 때에는 방광염에 걸렸을 때보다 더 정밀한 검사(혈액 검사,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증의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보통 10-14일간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3. 합병증 위험

 

방광염은 대부분 합병증 없이 치료되며, 신장으로 퍼질 위험은 낮으나 신우신염은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패혈증, 신장 농양, 만성 신부전 등의 심각한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신우신염은 방광염보다 더 심각한 감염으로 간주되며, 즉각적인 의료 처치가 필요합니다. 방광염의 증상이 있다면 조기에 치료하여 신우신염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